레프트 메뉴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검색버튼

정책지원실

서브페이지 컨텐츠

정책지원실

정책지원실 구성표로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실장 조준행 1. 정책지원실 업무 총괄
 

연구조사부

연구조사부 구성표로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선임부장 박경하 1. 부서 업무 총괄
2. 고령층 지원을 위한 다양한 국가사례 연구: 고령층의 경제활동과 복지의 조화(책임)
3.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수행기관 실무자 대상(책임)
4. 100세시대 정책포럼 운영
부연구위원 김가원프로필보기 1. 초고령사회 대응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정책 수요 연구(책임)
2.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자본 성과 연구: 사회적 고립을 중심으로(책임)
3.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추진체계 개편 연구(책임)
4. 고령사회전문가포럼 운영
부연구위원 김문정 프로필보기 1. 노인일자리 참여자 역량평가체계 연구(책임)
2. 노인일자리 직무변화와 디지털 직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3. 고령사회의 삶과 일 발행
연구원 홍민지 1. 연구행정 관리
2. 연구 지원
3. 정책연구심의위원회 운영
4. 연구자료 공시, 부 홍보 및 기록물 관리 담당
선임연구원 박지연 1. 연구지원
2. 100세시대 정책포럼, 고령사회전문가포럼 운영
3. 연구보고서 및 이슈페이퍼 발행
선임연구원 장보현 1. 연구지원
2. 고령사회의 삶과 일 발행
3. 연구보고서 및 이슈페이퍼 발생
선임연구원 김지민 1. 연구지원
2. 정책연구심의위원회 운영
3.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통계동향 
 

 연구조사부 패널조사팀

연구조사부 패널조사팀 구성표로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팀장 천재영프로필보기 1. 팀 업무 총괄
부연구위원 신서우프로필보기 1.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 2024년 코딩북 개발, 노인일자리정보시스템 연계
2. 2025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실태조사 행정데이터 연계
3. 패널조사, 실태조사 데이터 품질 관리
4.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학술대회 운영
연구원 이진이프로필보기 1. 연구행정 관리
2. 연구지원
3. 패널조사 IRB 승인, 국가통계 승인
연구원 홍유빈프로필보기 1. 연구지원
2. 패널조사, 실태조사 데이터 관리
연구원 양유정프로필보기 1. 연구지원
2. 패널조사 및 실태조사 홈페이지 관리
 

교육지원부

교육지원부 구성표로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위 성명 담당업무 전화번호
부장 권은경 1. 부서 업무 총괄
차장 김 * * 1. 참여자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
2. 종사자 교육 과정개발
대리 엄 * * 1. 종사자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
2. 지역특화 교육 지원
대리 신 * * 1. 종사자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
2. 노인일자리 교육자료 품질관리
대리 이 * * 1. 참여자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
사원 한 * * -
 

서브페이지 컨텐츠

◀ 뒤로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김가원 연구조사부 부연구위원 kwkim@kordi.or.kr

    연구분야

    • 노인복지, 사회복지실천, 노인돌봄정책

    연구보고서ㆍ저서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책임), 2023. 
    • 서울시 보람일자리사업 진단과 고도화 방안 연구(공동), 2023.
    • 경상북도 요양보호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공동), 2023.
    • 초고령사회 돌봄영역 노인일자리사업 고도화 방안 연구(책임), 2022.
    • 2021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통계동향(책임), 2022.
    •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Population Ageing in the Republic of Korea: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me(공동), 2022.
    •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내실화를 위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공동), 2022.
    •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 시범사업 지속가능성 성과 지표 개발 연구(공동), 2022.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책임), 2022.
    • 고양특례시 사회보장진단 및 정책 제안: 건강, 보호, 안전, 주거, 고용(공동), 2022.
    • 2021년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 분석 연구(공동), 2021.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책임), 2021.
    • 신노년세대를 위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 분류체계 정립방안 연구(공동), 2021.
    • 취약계층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지역간 균형 배분 방안 연구(공동), 2021.
    • OECD Society at a Glance OECD 사회지표 추이 분석(공동), 2020.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책임), 2020.
    • 사회복지시설 감염병 대응 매뉴얼(공동), 2020.
    • 사회적 가치 시대를 연다(공동),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사회복지 정책 제언집(공동), 2020.
    • 초고령사회의 지속가능한 노인돌봄 정책 방향과 전략(책임), 2020.
    •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사회복지의 대응 전략(공동), 2020.
    • 2019년 독거노인 현황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책임), 2019.
    •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서비스 만족도 및 욕구조사 연구(책임), 2019.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운영 지침 마련 연구(책임), 2019.
    • 복지융합형 치유농업 사례조사 연구(공동), 2019.
    • 재가장기요양기관 재무회계규칙 매뉴얼 마련 연구(공동), 2019.
    • 2018년 독거노인 현황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책임), 2018.
    • 사회서비스와 성과측정: 사회영향평가(SIA) 적용을 중심으로(책임), 2018.
    •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영양 실태에 관한 연구(책임), 2018.
    •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법률 제·개정 필요성 연구(공동), 2018.
    • 재가장기요양기관 재무회계규칙 매뉴얼 마련 연구(공동), 2017.
    • 제19대 대선 관련 사회복지 정책 제언집(공동), 2017.
    • 푸드뱅크·마켓 사업의 지역사회기반 운영전략 연구(책임), 2017.
    • 독거노인돌봄기본서비스사업 개선방안 연구(책임), 2016.
    • 2015년 독거노인 현황조사 분석 및 안전망 구축을 위한 과제(책임), 2015.
    • 독거노인돌봄사업 종사자의 직무소진 영향요인과 역할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책임), 2015.
    • 2014년 독거노인 현황조사 분석 및 안전망 구축을 위한 과제(책임), 2014.
    • 2013년 은평구 경로당 실태조사 연구(책임), 2013.
    • 2012년 은평구 경로당 실태조사 연구(책임), 2012.
    • 은평구 어르신전용문화센터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조사(책임), 2012.
    • 노인 정보화교육 이용 실태조사(책임), 2011.
    • 어르신 노후설계교육 욕구조사 분석 연구(책임), 2011.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소비지출경향 분석 연구(책임), 2010.
    • 노인 인식개선을 위한 세대 간 의식조사 연구(책임), 2010.
    • 은평구 노인복지 실태 및 욕구조사 연구(책임), 2010.
    • 인천광역시 서구 제2기 지역사회복지중기계획(2011~2014)(공동), 2010.

    학술논문, 발표

    • 제3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023~2027)의 쟁점과 과제”(2023). 2023년 한국노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의 특성 변화와 정책과제: 2012년, 2022년 노인일자리사업 실태조사 결과비교”(2023), 2023년 사회복지공동학술대회 발표.
    • 노노케어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고도화 방안”(2023), 2023년 한국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ccording to the SESAP Participation: Based on Estimation of Policy Target Group”(2022), 2022 SWESD world conference seoul, poster.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사업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지원체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22), 2022년 한국노년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발표.
    • “노인 1인가구의 자기돌봄 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2021)(주저자), 노인복지연구, 76(2).
    •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의 돌봄 욕구와 안녕감에 관한 연구: 사회적가치지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2021)(주저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4).
    • “노인 1인가구의 연령대별 행복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21)(주저자), 노인복지연구, 76(1).
    • “사회복지 분야 치유농업에 대한 질적 연구”(2020)(제3저자),공공정책연구, 37(2).
    • “노인 1인가구의 노인영양지수(NQ-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2019)(주저자), 한국노년학, 39(4).
    •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사례관리 역할수행 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8)(주저자), 사례관리연구, 9(1).

    학위논문

    • 석사학위논문: 남성 퇴직자의 퇴직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Retirement Acceptance among Retired Men), 2010.
    • 박사학위논문: 노인 1인가구의 자기돌봄 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자율성 지지를 고려한 앤더슨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Latent Profile in Self-Care among Elderly Single Households: Focused on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considering Autonomy Support), 2020.

    학술상

    • 2021년 숭실대학교 대학원 우수논문상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김문정 연구조사부 부연구위원 moonjung87@kordi.or.kr

    주요 학력

    • 2016.09. Ph.D. in Economics, Tohoku University(일본).
    • 2012.09. M.A. in Economics, Tohoku University (일본).

    주요경력

    • 2017.03. ~ 현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
    • 2016.10. ~2017.02.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전문연구원
    • 2015.04. ~ 2016.09. Research Fellowship, 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JSPS)

    개발원 연구실적

    • 노동환경변화에 따른 민간형 노인일자리 발전방안 연구.(2023). 책임
    • 시니어인턴십사업 개편방안 연구.(2023). 책임
    • 지역중심 노인일자리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2022). 책임
    • 민간형 노인일자리 지속가능성 강화방안 연구.(2022). 책임
    • 위드코로나시대에 대응한 새로운 노인일자리 정책방향 연구.(2021). 공동
    • 2021 노인일자리 정책효과 분석 연구.(2021). 책임
    • 고령자일자리 지원정책과 사회적경제 활용 사례: 덴마크, 스웨덴, 한국을 중심으로.(2019). 책임
    • 60+직무역량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민간분야 노인일자리를 중심으로.(2019). 책임
    • 60+직무역량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일자리를 중심으로.(2019). 책임
    • 고령자 노동생산성 기초연구(2018). 책임

    연구논문

    • 김문정. 김홍기. 2018. 60+ 고령자의 생산성에 대한 기업의 평가와 영향요인.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8(11).
    • 김문정·정순둘·김주현. 2017. 균형성과평가(BSC)모델을 활용한 청년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성과측정: 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3(1).
    • 김문정·김홍기. 2016. 다이버시티 경영의 조직성과에 관한 분석: 일본의 고령자 및 장애인고용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 김문정. 2016. Performance Analysis of Diversity Management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Case Study of Japanese Companies Employing Disabled and the Elderly.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
    • 김문정.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ool for the Performance Appraisal for Companie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sian Journal of Human Services. 10.
    • 김문정. 2016.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mployment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Corporate: Focusing Fact-Finding Survey of Employment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Japan. Total Rehabilitation Research. 3.
    • 김문정. 2016. The Development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Companie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 on Balanced Scorecard. Journal of Japan Society for Business Ethics Study. 23.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천재영 패널조사팀 팀장 genius1469@kordi.or.kr

    학력

    • 사회복지학 박사/중앙대학교

    경력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21. 9 - 현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4.12 - 2021. 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8 - 2012.12)

    연구분야

    • 사회서비스, 품질 평가, 정신건강

    연구보고서

    • 2024 제1차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 노인 일자리 언론 담론 분석 -2025년 부가조사 기반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측정도구 타당성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 2024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사전조사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3.
    • 2023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3.
    • 2022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2.
    •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내실화를 위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2.
    • 2021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1.
    •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 개선과 젠더 공정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 직장 내 성차별적 괴롭힘 실태와 제도개선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피해자 지원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 여성폭력 검찰 통계분석(II):디지털 성폭력범죄, 성폭력 무고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 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동법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 온라인 성폭 력 피해실태 및 피해자 보호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 미디어의 외모지상주의, 성형 재현에 대한 가이드라인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성인지적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 미혼모 홀로서기 지원사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제재정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 정신장애 폭력피해 여성 지원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 여성근로자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의 실태와 보호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 유치원 및 어린이 집 폭력예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 양육비이행지원제도 발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 정신건강 고위험자 관리체계 정립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의료인을 통한 자살예방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연구논문

    • 교신저자(2018).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 활용가능성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96(1)
    • 주 저 자(2018). 사회서비스 품질 측정모형 개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
    • 주 저 자(2017). 사회서비스의 사회품질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57(-)
    • 주 저 자(2014).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의 서비스 품질이 참여자의 일자리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보장연구, 30(3)
    • 주 저 자(2014). 앤더슨 행동모델을 적용한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2)
    • 주 저 자(2011). 노인의 우울에 대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노년학, 31(4)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신서우 연구조사부 부연구위원 aldo112986@kordi.or.kr

    학력

    • 사회복지학 박사/경기대학교

    경력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25.1. - 현재)
    • 경기복지재단(2023.1. - 2023.12.)
    • 경기대학교산학협력단(2020.3. - 2022.2.)

    연구분야

    • 노인복지, 노인과 지역사회, 주거, 건강(정신건강)

    연구보고서

    • 2023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통계동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 장애특성에 따른 주거공간 및 주거서비스 연구. 한국장애인인력개발원, 2024.
    • 발달장애인 주거지원 모델 연구, 경기복지재단, 2023.
    •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제도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경기복지재단, 2023.
    • 장수사회 허약노인과 자기돌봄 활용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2023.
    •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표준임금제 도입 방안, 경기복지재단, 2023.
    •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현황과 시군 자치법규 등 개선과제. 경기복지재단, 2023.
    • 경기도 불법사금융 피해자 특성분석, 경기복지재단, 2023.
    • 2023 대한민국 아동권리지수,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2023.
    • 복지전달체계 강화 시범사업 평가 및 컨설팅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2021.
    • 통합사례관리 데이터 기반 욕구-자원 연계 패턴 분석 및 적정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2021.
    • 지원주택 사업의 성과와 과제. 서울주택도시공사, 2021.
    • 지역사회 공공부문사례관리 연계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2020.

    연구논문

    • 단독저자. (2024). 중년 1인 가구와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 연대성,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4(4).
    • 주 저 자. (2024). 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차별경험 잠재계층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남성, 여성의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66.
    • 교신저자. (2023). 1인 가구 여부가 성인 장애인의 행복감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 여가생활만족도변화궤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16.
    • 주 저 자. (2023). 1인 노인가구 우울에 미치는 지역환경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4.
    • 공동저자. (2022). 독거노인의 정주의식을 촉진시키는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연구. 노인복지연구, 77(2).
    • 공동저자. (2021). 무엇이 노인의 삶을 더욱 불만족스럽게 만드는가?: 주거와 돌봄의 이중결핍의 영향. 사회과학연구, 60(2).
    • 공동저자. (2021). 매입임대주택 저장장애증상 입주자에 대한 실무자의 지원경험 탐색. 사회과학연구, 32(4).
    • 주 저 자. (2020). 독거노인은 지역사회에서 계속 살고 싶을까?: 정주의식, 노화불안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례관리연구, 11(1).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이진이 패널조사팀 연구원 -

    학력

    • 사회복지학 석사/연세대학교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홍유빈 패널조사팀 연구원 -

    학력

    • 사회복지학 석사/인천대학교
  • 연구원 소개표로 이름, 직위, 소속, 전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연락처 이메일
    양유정 패널조사팀 연구원 -

    학력

    • 사회복지학 석사/연세대학교